[오티콘 보청기 기술-4] 인지하고 반응하기 : 복잡한 소리 환경에서의 말소리 이해 (임상 연구2)

인지하고 반응하기 : 복잡한 소리 환경에서의 말소리 이해 (임상 연구2)

 

일상생활에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소리 환경을 이동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합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먼저 방향을 파악하고, 관심 있는 화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그들의 말을 이해하고 대화에 참여하게 됩니다. Oticon Intent의 4D 센서 기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이전보다 더 현실적인 청취 환경을 구현하는 새로운 말소리 이해 테스트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Ahrens와 Lund(2022)는 청력 손실 유무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시청각 장면 분석 테스트 방법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Ahrens et al., 2022). 이 테스트는 현실적인 음향 시뮬레이션과 가상현실 기술을 조합하여 소리 환경을 제현합니다. 이 테스트에서 참가자는 15명의 아바타로 둘러싸인 환경에 놓입니다. 최대 4명의 아바타가 소음을 배경으로 동시에 말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소음 속 말소리 테스트와 달리, 이 테스트에서는 참가자가 머리를 움직여 목표 화자를 찾아야 합니다. 이로 인해 훨씬 더 현실적인 청취 경험을 제공합니다. 전체적으로, 이 테스트는 경쟁 화자가 있는 복잡한 칵테일 파티 상황을 재현한 것입니다.

 

연구방법

평균 연령 69.4세(48~79세), 경도에서 중등도의 양측성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30명의 숙련된 보청기 사용자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Oticon Genie 2의 4D 센서 기술 설정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진행되었으며, MoreSound Intelligence 3.0설정은 각 조건에 따라 기본값으로 유지되었습니다. 가상 시청각 장면은 ±105도 범위의 수평면에 배치된 15개의 아바타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실험에서는 15개 공간 중 무작위로 선택된 4명의 아바타가 동시에 4개의 서로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으며, 60 dB SPL의 고정된 배경 소음이 뒤에서 재생되었습니다. 각 경쟁 화자의 소리도 60 dB SPL로 설정되었습니다. 참가자는 먼저 소리 환경에서 방향을 잡고, 특정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아바타를 찾아야 했습니다. 그런 다음, 찾아낸 아바타에 집중하여 해당 위치에서 재생되는 30초 길이의 뉴스 클립을 들었습니다. 경쟁 화자와 배경 소음은 실험 동안 계속 재생되었습니다. 말소리 이해는 뉴스 클립 내용에 대해 예/아니오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되었습니다.

 

[그림6] 4D 센서 기술이 활성화/비활성화 된 상태에서의 말소리 이해 점수(정답률, %) 유의미한 차이는 별표로 표시하였습니다(*p<0.05).

 

결과

말소리 이해 과제의 평균 성과 점수는 그림6에 나타나 있습니다. 4D 센서 기술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참가자들은 말소리 이해 점수가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36), 이는 4D 센서 기술이 비활성화된 상태에 비해 15%의 개선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결과는 4D 센서 기술이 1:1 대화에서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현실의 복잡한 상황에서도 대화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다음글에서 계속됩니다....
 


이전글 바로가기 : [오티콘 보청기 기술-3] 뇌가 소리를 처리하는 방식, BrainHearing

 

▶ 다음글 바로가기 : [오티콘 보청기 기술-5] 인지하고 반응하기 : 정면과 측면에서의 동일한 말소리 접근성 (임상연구3-파트1)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문의, 상담

(전화연결) 031-994-2544

 

 

                               

     

                             

          


 

 방문예약을 남겨주신 분들께는 추가 할인혜택을 제공해드립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