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청력 노인과 보청기 착용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요약본]

A Study on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ith Normal Hearing and Elderly Wearing Hearing Aids

정상청력노인과 보청기 착용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 연구논문 출처 : ASR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 18(2) ; 2022
- DOI: https://doi.org/10.21848/asr.220057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어떤 사람을 둘러싼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어지는 형태로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으로 중대한 역할을 하며, 이것은 삶에 있어서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관계 속의 정신적, 물질적 도움에서 나타나는 관계와 행동, 자원, 평가 등을 포괄하며 사회관계 속에서 위태로울 수 있는 개인의 정서, 정신 상태를 보호하고 적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회적 지지는 사회 환경에서 개인과 집단 간의 끊임없는 상호관계 속에서 개인이 가족, 친구, 이웃 등의 네트워크에서 얻는 금전적, 신체적, 정서적 자원을 의미하며 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응적 대안 방안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노년층의 경우 다른 연령층이 가지는 문제와 더불어 육체적, 정신적 기능이 저하되고 사회활동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심리적으로 소외를 느끼고 사회와 고립되기 쉽다. 은퇴 이후의 경제적 상황, 가족과 친구 관계와 노화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겪는 노년층의 삶에 사회적 지지는 큰 영향을 끼친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노인의 경우 삶의 질이 높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사회적 관계와 활동을 나타내는 대표적 요인이며, 노인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난청으로 인하여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노인성 난청은 노인의 질환 중 관절염 다음으로 흔한 질병으로 난청 환자 중 80%가 65세 이상의 노인이다. 노인성 난청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출현율이 4배 이상 높으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난청의 유병률은 높아진다. 난청은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타인과의 접촉을 줄어들게 만들고 그로 인해 인간관계가 멀어진다는 느낌을 받게 될 수 있다. 난청으로 인하여 상대방의 초대를 거절하게 되고, 외부의 방문, 예를 들어 교회, 영화관 등의 방문도 줄어들게 된다. 난청은 치매 유병을 높이고, 어지럼증과 이명까지 동반되어 불안과 우울을 발생시켜 사회기술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여 사회적 역할 실패로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게 한다. 또한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사회 연결망의 부재로 이어져 고독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청력 저하는 삶의 질을 낮추고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주어 부정적 대인관계, 우울증을 겪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난청을 보완하기 위한 보청기와 같은 보장구의 착용으로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체장애, 일반인보다는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난청 노인의 사회적 지지도를 밝히고 현재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난청 노인과 비난청 노인의 사회적 지지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난청 노인의 경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사회적 지지도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는 설문지를 통해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분석한 결과, 설문지 총점과 사회망을 이루고 살아가는 사람과의 정서적, 신체적 도움을 주고받는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s)의 경우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림]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정상 청력을 가진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세로축 사회적지지 관련 설문지(LSNS) 합계점수, Bar는 오차막대를 의미)

 

그러나 주변 가족과 친구의 수, 전화 통화나 직접 만남의 정도의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대해서는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친구, 가족 간의 관계에 대한 질적 차이는 없었지만 네트워크의 넓이와 같은 양적인 차이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력 저하가 의사소통 실패의 경험과 차별의 감정을 유도하여 사회활동의 참여를 주저하게 하고, 사회로부터 관계적 고립과 소외감을 초래하여 청력 저하 노인에게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는 정상 청력의 노인에 비해 사회적 네트워크가 좁아질 수밖에 없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난청으로 인해 언어를 통한 대화 과정이 방해됨으로써 의미 있는 의사소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이 제한된다는 선행 논문과 동일한 결과이다.

 

 

다음으로 보청기 착용 노인만을 대상으로 청력과 사회적 지지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청력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청력이 좋지 않다고 하여 사회적 지지도가 나빠지는 것은 아니라는 결과이다. 청력이 좋지 않을수록 의사소통 능력은 좋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가설을 세웠으나 연구의 결과는 본 가설을 뒷받침하지 못하였다.

 

Sung et al.(2016)의 연구에서는 50~94세의 145명의 외로움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나이가 어릴수록 청력손실이 클수록 외로움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은 우울 증상, 삶의 질, 의사소통의 문제, 감정적 웰빙, 정신건강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외로움과 사회적 관계 정도와 지지 정도는 관계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외로움과의 관계를 연구하지는 않았지만 청력손실이 클수록 앞에 제시한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의미는 청력손실이 사회적 관계와 지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우 청력손실의 정도와 사회적 지지도와의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Mick et al.(2014)의 종단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청력이 손실된 노인 집단에서 청력은 사회 고립도(social isolation score)에 중간 정도의 영향이 있었다. 청력손실이 있는 노인은 사회적인 고립이 증가하고 삶의 질 또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청력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사회적 고립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관계는 60~69세 여성의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참여자가 아니기 때문에 나이별,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지 않아 선행 연구와 일치 여부를 정확히 비교할 수는 없었지만 한 그룹의 경우만이 청력의 손실 정도와 사회적 고립도가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본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성격, 나이, 성별 그리고 문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청력의 손실 정도 외에 다른 여러 가지 요인들이 영향을 끼칠 수 있었을 것이라 분석하였다.

 

보청기를 사용하는 노인의 경우 보청기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사회적 지지도 또한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에서 뒷받침하지 못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청기의 사용자의 경우 그렇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 네트워크가 좁아지지만 이는 보청기 사용의 만족도와 청력의 정도와는 관계는 독립적 요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지 못한 원인으로는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가 전체 난청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대표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은 사실 보청기를 착용하고 청각재활을 적극적으로 받은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재활을 적극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에서는 정상 청력 노인들과 유의하게 차이가 난 결과는 청각재활 이후 좀 더 적극적인 사회 활동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회적 네트워크의 증가와 인지활동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적극적 참여 유도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참여 대상자 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배경 변인을 통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큰 제한점이다. 후속 연구로 난청 노인의 배경요인을 다양하게고려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극적 청각재활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난청노인이 보다 건강한 노년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데 기본이 되는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문의상담 (전화연결) 031-994-2544


 

[이편한보청기 일산청각센터 찾아오시는 길]


 방문예약을 남겨주신 분들께는 추가 할인혜택을 제공해 드립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