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자료] 미혼남녀의 결혼, 출산관련 태도 (만20-44세) -보건복지데이터
- 건강리포트-연구통계
- 2019. 6. 17.
미혼남녀(만20세-44세)의 결혼, 출산관련 태도.

보건복지데이터포털에서 밝힌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의 주요연구결과에 의하면 만20~44세 '미혼남녀의 결혼, 출산관련 태도' 조사에서 결혼할 생각이 있는지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미혼남성의 74.5%는 결혼계획이 있다고 밝혀 여성의 64.7%에 비해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계획이 없다고 밝힌 비율은 남성 9.9%, 여성 13.9%로 여성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여러가지 이유로 결혼에 대한 부담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30세 이상 미혼남녀의 현재까지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미혼남녀 공히 '본인의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 이유가 가장 높고 이외로 미혼남성의 경우에는 소득 부족, 결혼생활 비용부담 등 경제적 여건으로 그리고 미혼여성의 경우에는 본인의 가치관이나 사회생활 욕구 등으로 인하여 결혼을 아직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의견-남성]
실업 4.2%, 고용불안 5.7%, 결혼비용 마련곤란 4.4%, 결혼비용 부담커서 7.9%, 결혼-직장양립곤란/사회활동지장우려 0.2%, 이른나이 1.8%, 결혼시기 놓침 7.1%, 상대방에 구속되기 싫어서 3.5%, 나의 일에 더 충실 희망 5.1%, 결혼제도가 남편 중심 0.1%, 건강/장애 1.6%, 시간부족 3.3%, 결혼생각 없음 6.8%, 기타 3.5%
[기타의견-여성]
소득이 적어서 3.5%, 실업 1.3%, 고용 불안 1.6%, 주택마련 곤란 0.5%, 결혼비용마련 곤란 2.3%, 결혼생활 비용 부담커서 2.0%, 이른나이 1.2%, 결혼시기 놓침 6.5%, 상대방에 구속되기 싫어서 4.4%, 결혼제도가 남편 중심 4.3%, 건강/장애 1.4%, 시간부족 1.7%, 이성 만날 기회 없어 5.0%, 기타 3.7%

결혼정책에 대한욕구 측면에 대한 조사결과는
필요한 것으로 제시한 결혼정책의 우선순위는 미혼남녀 간 큰 차이는 없으나, 미혼여성의 경우 결혼으로 인한 직장 내 불이익 제거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직장내 남녀간의 성차별을 상당수 느끼거나 의식하고 있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미혼남녀의 평균 자녀계획으로
미혼남녀 모두 이상 자녀 수와 기대(희망)자녀수를 약2명으로 꼽았으며, 1자녀 이하 출산 희망 이유로서 남성이 30.5%로 여성 20.5%에 비해 자녀교육비에 대한 부담을 더 느끼고 있으며, 소득이 적음에 대한 부담으로는 남성 11.1%에 비해 여성이 27.1%로 2배 이상 부담을 느끼고 있음이 나타났다.
[기타의견-남성]
실업상태여서 /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 7.7%, 자녀양육을 위한 적절한 주택마련이 어려워서 4.5%, 아이를 돌볼 마땅한 사람이나 시설이 없어서 5.9%, 본인의 건강문제 때문에 0.1%, 아이를 싫어해서/가족 간호/기타 2.3%
[기타의견-여성]
소득이 적어서 2.9%, 실업상태여서 /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 0.7%, 자녀양육을 위한 적절한 주택마련이 어려워서 1.9%, 아이를 돌볼 마땅한 사람이나 시설이 없어서 3.8%, 본인의 건강문제 때문에 2.0%, 아이를 싫어해서/가족 간호/기타 2.8%
"본 내용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이나 질문, 댓글, 공감 모두 환영합니다."
[이전글보기]
[건강데이터 (차트, 인포그래픽)] - [통계자료] 노인들의 경제활동 - 노인실태조사
[통계자료] 노인들의 경제활동 - 노인실태조사
본 데이터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노인들의 경제활동 유무를 살펴보면, 2014년도에는 하고있다(28.9%), 경험은 있으나..
easyhearing.tistory.com
[건강데이터 (차트, 인포그래픽)] - [통계] 만성질환 소득 및 지역별 격차 (2016)
[통계] 만성질환 소득 및 지역별 격차 (2016)
국내 성인남녀의 대표적인 만성질환 별 소득 및 지역별 격차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건강데이터 자료(2016)입니다. (출처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본 데이터 자료는 관련공공단체의 건강, 의료데이터를 취합한..
easyhearing.tistory.com
'건강리포트-연구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 공기정화식물? 실제로 화분에 심은 식물의 공기 정화능력 없음 밝혀져... (0) | 2019.12.16 |
---|---|
여론조사로 살펴본 건강보험 평가 결과 - 얼마나 달라졌나? (0) | 2019.12.04 |
연령별로 주의해야 할 혈액검사 관련 대표 질병 (0) | 2019.10.30 |
[그래픽통계] 할아버지, 할머니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 노인들의 특성변화 (0) | 2019.07.09 |
[통계자료] 노인들의 경제활동 - 노인실태조사 (0) | 2019.05.30 |
[통계] 만성질환 소득 및 지역별 격차 (2016) (0) | 2019.05.27 |
노인 연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인지) (0) | 2019.05.18 |
[통계] 영화관 매점 제품별 당류 및 나트륨 함량 (2017)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