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골도보청기의 적용범위 및 특성 - 이편한보청기

골도 보청기[bone-anchored hearing aid (BAHA), bone conduction device]는 만성 중이염, 일측성 감각신경성 난청, 선천성 외이도 폐쇄증 등 다양한 이과적 원인으로 인해 보편화된 기도 보청기 착용에 제한을 갖는 환자들을 대상로 Tjellstro¨m et al.(1980)에 의해 1980년 처음 제안되어 편측성 및 혼합성 난청 등 다양한 난청 범위로 확정되어 왔다.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150,000명 이상의 난청인들이 골도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사용자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림] 골전도 보청기는 환자의 기능이 좋지 않은 귀에서 좋은 청각으로 반대 귀로 소리를 전달합니다. 이 장치는 소리에너지를 두개골을 통해 귀의 정상적인 달팽이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변환합니다

골도 보청기는 환자의 고막과 이소골의 보존 여부 및 상태와 관계없이 보장구 착용을 통하여 긍정적인 이득을 기대할 수 있고, 일측성 난청을 갖는 환자에게도 골도 보청기의 착용 측에서 받아들여진 청각적 신호를 골전도를 통해 대측 와우에 전달함으로써 양측의 청각적 자극을 모두 수용 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환영받아 왔다. 그럼에도 일부 골도 보청기 착용자는 보장구 사용에 낮은 만족감을 보이거나 착용 전 청력으로 예측되는 착용 후의 이득을 기대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Hodgetts & Scollie(2017)는 높은 착용 만족도를 보여준 골도 보청기 대상자들 또한 어떠한 이득으로 인해 성공적인 적합이 되었는지 정형화된 임상적 측정치가 없어 확인하기가 모호 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림] Cochlear Limited에서 제조 한 Baha® 골전도 임플란트 시스템

 

다시 말해 표준화된 실이 측정 절차(ANSI, 1997)가 있는 기도 보청기와는 대조적으로 골도 보청기의 적합은 진동 자극이라는 기기적 특성으로 인해 실이 측정을 통한 미세 조정(fine-tuning)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표준화 및 체계적인 절차의 부재로 인해 적합에 대한 접근 방식이 애매하고, 구체적인 적합 방법 및 절차들은 임상에 따라 매우 상이하다.

 

또한 Dillon(2012)은 난청 환자가 임플란트 이식 수술을 진행하기 전에도 골도 보청기의 착용 전 후에 대한 이득 평가가 현재로써는 한계가 있고, 이식 전 밴드 형태로 착용하는 골도 보청기를 통한 이 득 예측 평가는 고주파수에서의 다소 큰 역치 차이로 인해 낮 은 평가-재평가 신뢰도를 초래하는 등 오히려 잘못되고 부적절 한 해석을 초래할 수 있다고 임상적 권장을 제한하였다.

 

한편 수용소음레벨(acceptable noise level, ANL)은 일반 청 취 환경 속에서 청취자가 수용할 수 있는 배경소음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써, 1991년 Nabelek et al.(1991)에 의해 처 음 시도되었다. 다양한 연구들을 통하여 수용소음레벨은 보장 구의 추가 기능 및 적합 상태에 따라 소음 속 어음인지(speech perception in noise)와는 달리, 보장구 착용 여부에 영향을 받 지 않는 개인의 내재적인 수치로 여겨졌다.

 

정상 청력인을 대상으로 측정된 수용소음레벨이라도 연구자별로 다 소 차이가 있지만 국외에서는 평균적으로 6.4~15.9 dB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한국어를 통해 측정된 정상 청력인의 평균 수용 소음레벨은 약 7.8 dB 정도로 보고하였다. 매우 드물지만 골도 보청기 착용자를 대상으로 수용소음레벨 을 측정하였던 Olsen et al.(2011)의 연구에서는 약 9.3~14.7 dB 범위에서 수용소음레벨이 나타났다.

 

Nabelek et al.(2006)은 배경소음에 대한 낮은 수용력으로 인해 기도 보청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대상자 선별을 목표로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용소음레벨이 낮은 연구 대상 자들, 즉 배경소음을 더 많이 수용하는 대상자들은 예상대로 기도 보청기에서 더 높은 사용률을 보고하였으며, 수용소음레 벨은 약 85%의 정확도를 갖고 난청인들의 보장구 사용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라 결론지었다.

 

이와 유사하게 수용소음 레벨과 보청기 만족에 대한 자가보고형 설문지인 Abbreviated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 (APHAB) (Cox & Alexander, 1995)의 연관성을 분석했던 Freyaldenhoven et al.(2008)의 연 구에서는 측정된 수용소음레벨과 APHAB 점수는 약 91%의 정확도로 기도 보청기의 사용률 및 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림] APHAB - 보청기만족과 관련현 자가보고형 설문지

이듬해에 Donaldson et al.(2009)의 연구에서도 인공와우 이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용소음레벨과 APHAB 자가보고 평가를 실시하여 착용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예측 가능 성을 조사하였고, 수용소음레벨의 결과가 인공와우 착용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높은 연관성을 갖음을 강조하였다.

 

국내 임상사례 보고서 '골도 보청기의 피팅 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허용 가능한 소음수준 적용(2020)-유성화,이지현 외'에서는 4명의 골도 보청기 착용자를 대상 으로 보장구 적합에 수용소음레벨 및 자가보고형 설문 평가를 접목함으로써, 골도 보청기 착용자의 적합 기준에 시도되지 않았던 수용소음레벨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용소음레벨 측정결과 골도 보청기의 적합이 적절히 되었다면 개인의 내재적 수치인 수용소음레벨은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가정과는 상이하게, 보장구 착용 여부에 따라 수용소음레벨은 약간의 수치적 차이(소폭저하 및 소폭상승)를 관찰하였다.

 

이 연구는 비록 4명의 적은 대상 자 수로 인해 수용소음레벨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일반화할 수 없지만, Olsen et al.(2011)의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골도 보청 기 착용자의 수용소음레벨 범위와 유사함을 보여 적용 가능성 을 증명하였다.

 

향후 수명의 연장과 삶의 질의 향상과 관련하여 기존의 보청 기의 착용이 불가능하거나 인공와우 수술을 시행하기에는 좋 은 청력역치를 지닌 난청 환자들에게 골도 보청기 수술의 좀 더 안정적이고 편안한 듣기 상황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참고자료(원문출처) :  

- Application of Acceptable Noise Level to Confirm Fitting Strategy for Bone-Anchored Hearing Aid (2020-한국음향학회) - Sunghwa You, Jihyun Lee, Woojae Han, Young Joon Seo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관련글 더 보기]

 

골전도(골도) 보청기 작동방식과 사용대상

골전도 보청기(BAHA, Born Anchored Hearing Aid)란 무엇인가? 골전도 보청기는 소리의 뼈 전도를 이용해 청력을 향상시키는 보청기의 일종입니다. BAHA는 주로 전도성 청력손실을 가진 사람들과 한쪽 청각장애를..

easyhearing.tistory.com

 

 

일측성난청(편측성난청)을 위한 골도보청기, 크로스(CROS)보청기

일반적으로 성인에서 일측성 난청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 가 많으며,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양쪽 귀의 작 은 청력역치의 차이도 다자간의 대화가 많은 소음 환경에서는 문장이나 단어의 인지에 제한..

easyhearing.tistory.com

 

 

[보청기평가] 설문지를 통한 보청기 사용 만족도 평가 분석

2015년 정부는 보청기 구매에 대한 보조금 확대시행을 통해 보청기가 필요한 청각장애인이 보청기를 착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함으로써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중이다. 국내의 청각 및 언어장애인으로 등록된 수는 2..

easyhearing.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