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청인이 착용하는 보청기의 입력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에 따른 이득과 주파수 반응곡선의 초기 조절은 주로 보청기 적합공식(hearing aid fitting formula)을 기준으로 조절합니다. 선형 증폭기에서 보청기 적합공식은 1/2이득법을 토대로 POGO, NAL, DSL 등이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개발된 비선형 증폭기에서는 작은, 보통, 큰 소리에 대한 이득을 효과적으로 각각 조절하기 위해 Fig.6, IHAFF, NAL-NL1 또는 2, DSL I/O 등의 보청기 적합공식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래에 들어서는 보청기 제조사들 또한 자사의 보청기 적합공식을 개발하여 보청기의 다양한 전 기음향의 초기 조절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청기 적합공식의 산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청력역치레벨 (hearing threshold level, HTL), 쾌적강도레벨(most comfortable level, MCL) 및 불쾌강도레벨(uncomfortable level, UCL), 상향차폐(upward spread of masking) 등의 청지각적 요소, 연령에 따른 외이도의 용적, 보청기의 형태 등의 실이 대 커플러차 (real-ear to coupler difference), 대화음의 강도와 스펙트럼, 대역중요함수(band importance function) 등 어음의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Lee & Kim(2011)의 연구에서 한국어의 음향적 특성이 미국, 유럽 등 서구에서 사용하는 어음(speech sound)과 서로 다르다는 점을 들어 한국 난청인이 사용하는 보청기의 조절 에 필요한 보청기 적합공식 개발의 필요성을 보고하였습니다.
이후 한국어의 음향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 Noh & Lee(2012)는 장기 평균어음스펙트럼(long-term average speech spectrum), Han & Lee(2020)는 한국어 대화음의 강도 및 이에 따른 스펙트럼이 외국어(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12)와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그리고 Bang & Lee(2020) 또한 한국 난청인의 선호이득이 NAL-NL2 등 외국의 보청기 적합공식과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여 한국형 보청기 적합공식 의 필요성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의 보청기 적합공식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Kim & Lee(2019)는 다채널 보청기의 압축역치(compression threshold, CT)를 55, 65, 75 dB SPL로 설정했을 때 55 및 65 dB SPL의 CT에서 잡음 환경에서의 초성자음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지만, 55 dB SPL에서는 65 및 75 dB SPL의 CT에 비해 잡 음을 크게 느낀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Han et al.(2017)은 해제시 간 관련 연구에서 한국에서 개발한 다채널 보청기 시제품(prototype)의 CT를 31과 61 dB SPL로 설정했을 때 문장인지 역치, 음량의 크기, 날카로움, 명료성, 배경잡음의 크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같은 연구에서 해제시간 (release time)을 50과 500 ms로 설정했을 때 음량, 음질, 배경 잡음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빠른 해제시간에서 명료 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습니다.
그리고 Jeong & Lee(2018)의 연구에서는 70과 600 ms에 비해 250 ms의 해제 시간에서 잡음 환경에서의 문장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 고하였다. 그리고 Jin et al.(2017)과 Han et al.(2017)은 한국어 의 음향 특성과 음량증가, 평균 대화음레벨, 폐쇄효과를 고 려하여 한국형 보청기적합공식인 Hallym Audiology Institute-version 1 (HAI-v1)을 보고하였으나 현재까지 상용화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 Lee & Ahn(2020) 의 연구에서는 한국어 대화음 레벨과 스펙트럼 및 선호 이득 등 한국어의 음향적 특징과 한국인의 심리음향적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한국형 보청기 적합공식인 한국 난청인을 위한 보청기이득 버전 2.0 (Hearing Aid Gain for Korean Hearing Impaired version 2.0, HAG-K v2.0)을 개발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대화음 레벨과 스펙트럼, HTL에 따른 MCL과 UCL의 변화와 선호이득 등 한국어의 음향적 특징과 한국인의 심리음향적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형 보청기적합공식 HAG-K v2.0을 개발하여 청능재활 현장에서 보청기의 효과적 인 조절과 한국 난청인의 어음인지도,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보청기의 만족도를 개선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보청기 적합공식을 산출할 때 적용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HAG-K v2.0은 아동보다는 성인 또는 노인이 착용하는 보청기의 이득을 산출할 때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 후의 한국형 보청기 적합공식 관련 연구에서는 아동, 성인, 노인 등 난청인의 연령, 청각손실의 종류, 형태 및 정도, 개방형과 폐쇄형 등 보청기의 형태와 환기구의 직경, 한국 어음의 인지에 효과적인 해제시간, 음향피드백의 활성화 여부, 채널의 수 그리고 난청인의 생활 환경을 고려한 보청기 이득을 산출하기 위하여 실생활에서의 대화음과 소음의 강도 및 스펙트럼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아울러 다양한 환경에서 보청기의 음질, 착용 만족도, 어음인지도 등의 평가를 통하여 HAG-K v2.0을 체계 적으로 검증하고 수정 및 보완 한다면 한국 난청인이 착용하는 보청기의 전기음향적 조절과 의사소통 능력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연구논문 부분발췌 :
한국어 회화의 수준과 스펙트럼, 선호도를 고려한 한국 청각 장애인용 보청기 2.0 버전 개발 - 이경원, 안수현, 조혜령
(Development of Hearing Aid Gain for Korean Hearing Impaired version 2.0 Considering Levels and Spectra of Korean Conversational Speech, and Preferred Gain)
- 2020-12-16 (ASR,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DOI : https://doi.org/10.21848/asr.200075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상담전화 연결]


'청력리포트 (Hearing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50년까지 전세계 인구의 25%(4명중 1명)는 난청, 청각장애 보유 -WHO (0) | 2021.03.16 |
---|---|
환자 치료 중심의 새로운 청력 평가 기술의 개발 (0) | 2021.03.09 |
2021년 청각기술 가이드 - Hearable 기술의 특징 및 이점 (0) | 2021.02.23 |
연령에 따른 청력 손실의 근본적인 원인으로서 유모세포 손상 관련연구 (0) | 2021.02.15 |
보청기 사용이 인지력 저하를 막아줄 수 있을까? -보청기 사용의 인지적 이점 (0) | 2021.02.08 |
인지, 청취,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가 보청기 성능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 (0) | 2021.01.21 |
돌발성난청, 갑작스런 감각신경성 난청의 즉각적인 치료의 중요성 -사례연구 (0) | 2021.01.18 |
우리는 우리가 듣기를 기대하는 것을 듣는다 -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