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SSNHL) : 2022년 현황 보고서

SSNHL의 발생, 원인, 진단, 치료 및 결과에 대한 연구 검토

 

SSNHL은 진단, 관리, 해결이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SSNHL에 대한 치료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고압 산소 요법이 포함되지만(가능한 초기 발병 후) 예측 가능한 성공적인 결과를 가진 중재는 없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연구 중입니다.

 

수십년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SSNHL)은 여러 면에서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SSNHL은 이명 또는 현기증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을 수 있는 환자에게 고통스러운 증상입니다. 진단 용어인 SSNHL은 사례의 90% 이상이 알 수 없는 원인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특발성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ISSNHL)과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SSNHL은 일반적으로 30dB 이상의 SNHL로 정의되며 72시간 이내에 급격히 감소하는 3개 이상의 연속된 청력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발생

발병 보고가 해마다 연구된 특정 인구에 따라 다르지만, SSNHL의 발병률은 인구 연령이 어린이에서 노인으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 추정치는 미국 인구 100,000명당 약 5~27건의 SSNHL 사례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치는 경미한 증상이나 빠른 회복을 보이는 많은 환자들이 진료를 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수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더 두드러지는 약간의 남성이 우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에서 매년 약 60,000-65,000건의 새로운 SSNHL 사례가 기록되고 있습니다.

 

인과 관계론(병인: 病因)

2022년에 SSNHL의 병인은 대부분의 환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SSNHL은 90% 이상의 사례에서 식별 가능한 원인 없이 나타납니다. 가능한 병인에는 비특이적 바이러스 감염 , 세균 감염, 염증, 두부 외상, 자가면역 질환, 이독성 약물, 약화된 혈류 또는 관류, 신경 장애, 내이 이상, 전정 및 또는 와우 신경을 따른 종양 과정 등이 포함됩니다.

 

달팽이관은 내이 구조(내이 및 외유모 세포, 코르티 기관 등)의 섬세한 특성과 말단 기관으로서의 불안정한 상태를 고려할 때 특히 모욕에 취약합니다. 이와 같이 달팽이관은 부수적 공급 없이 단일 동맥(미로 동맥)의 혈류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매우 민감하고 관류 변동에 취약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편두통 환자의 신경혈관 변동으로 인해 이러한 환자가 SSNHL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진단

SSNHL의 진단 정밀 검사에는 신중한 병력, 중이 병리를 배제하기 위한 철저한 귀 검사, 포괄적인 청력 평가 및 와우후방 병리를 배제하기 위한 적절한 영상 검사가 포함됩니다. 선택한 영상 연구는 내부 이도(IA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가돌리늄 조영제를 사용한 자기 공명 영상(MRI)입니다.

 

치료

 

[그림설명 /증례]
SSNHL로 내원한 두 환자의 청력도 (두 환자 모두 40대 중반의 여성으로 발병 1주일내 SSNHL에 대한 불만호소. 치료는 경구용 항포진제로 10일동안 치료. 환자1에 대한 SSNHL 발병 후 초기 청력도(A) / 2주 후 추적 청력도(B) / 환자2에 대한 SSNHL 발병 후 초기 청력도(C) / 환자 2에 대한 3주차의 추적 청력도(D)

 

SSNHL에 대해 완벽하게 예측 가능한 성공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임상의를 위한 몇 가지 지침 원칙에는 조기 식별, 전음성 난청을 배제하기 위한 평가, 병인 또는 특수 특성(양측 침범, 메니에르병, 국소 신경학적 결함)을 식별하기 위한 병력 및 신체 검사, 전정 신경초종을 배제하기 위한 와우후 영상, 환자 상담이 포함됩니다. SSNHL의 자연사 및 예후,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전신 또는 고막) 투여, 고압 산소 요법(HBOT)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원인이 되는 병인이 확인되면 치료 권장 사항은 해당 병인에 맞게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항생제는 세균 감염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전정 신경초종은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고/또는 성장이 명백한지 확인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다른 국소 신경학적 소견이 있는 환자는 신경학적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합니다.  

 

회복

SSNHL 이후의 청력 역치 회복은 일어나지 않거나 부분적이거나 완전히 회복할수도 있습니다. 2020년 Singh와 Irugu는 모든 사례의 약 2/3가 자발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고 보고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32%에서 65% 사이의 자발적 회복률을 보고했습니다.

 

청력 회복과 관련된 요인에는 청력 상실 시작 연령, 청력 상실 심각도, 영향을 받는 주파수, 현기증의 존재, 청력 상실 개시와 치료 의사 방문 사이의 시간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조기 진단 및 치료(치료 시간과 무관)를 찾는 환자에게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거나 확인되지 않은 특징 또는 특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유익한 결과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미래 치료

SSNHL에서 영구적인 청력 상실을 의학적으로 치료할 기회가 눈앞에 있습니다. 내이의 특정 표적에 작용하기 위해 원형 창 막을 가로질러 확산되는 고실 주입을 통해 전달되는 작은 생체 활성 분자를 활용하는 다양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현재 미국에서 조사 중입니다. 

 

SSNHL과 COVID-19

많은 사람들이 SSNHL과 COVID-19 사이의 관계에 대해 추측했지만 비교적 초기단계이며 우리가 모르는 많은 것들이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JAMA의 2022년 1월 간행물에 의하면 2018년과 2019년에 SSNHL과 관련하여 3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연구했으며, 이는 첫 번째 유행성 연도(2020)와 비교됩니다. 그들은 백신이 나오기 전에 SSNHL의 발병률이 크게 감소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들은 그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인식되지 않는 한 병원에 가는 사람들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감소했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들은 또한 아마도 감소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감소 때문일 수 있으며 아마도 사회화, 마스크 및 사회적 거리두기의 감소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결론

2022년에도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SSNHL)은 진단, 관리 및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SSNHL은 환자에게 답답하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매우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더 성공적인 것으로 보이며 적극 권장됩니다. SSNHL에 이차적인 실생활의 어려움은 중요하며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기사의 인용 : Beck D, Grisel JJ.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SSNHL): A status report 2022 Hearing Review. 2022;29(3):14-18.

 

* 원문출처 : The HearingReview

 

 

[관련글 더 보기]

[청력리포트 (Hearing Report)] - 돌발성난청, 갑작스런 감각신경성 난청의 즉각적인 치료의 중요성 -사례연구

 

돌발성난청, 갑작스런 감각신경성 난청의 즉각적인 치료의 중요성 -사례연구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갑작스러운 감각신경성 청력손실(SSNHL,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치료 시 모범 사례를 지원하는 데 있으며, 특히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SSNHL 의심환자의 즉각

easyhearing.tistory.com

[알기 쉬운 청각이야기] - 감각신경성 난청 치료 옵션(선택)에 대한 완벽 가이드 - 이편한보청기

 

감각신경성 난청 치료 옵션(선택)에 대한 완벽 가이드 - 이편한보청기

감각 신경성 난청(SNHL)은 내이 또는 청각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본질적으로 영구적입니다. 즉, 일단 감각 신경성 청력 손실이 발생하면 잃어버린 청력을 회복 할 수없고 복원 할 수 없습

easyhearing.tistory.com

 

이편한보청기 청각센터

문의,상담 (전화연결) 031-994-2544


 

[이편한보청기 일산청각센터 찾아오시는 길]


 방문예약을 남겨주신 분들께는 추가 할인혜택을 제공해드립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